티스토리 뷰
목차
목차
정월대보름 의미
정월 대보름은 날짜로 음력 1월 15일에 해당하며,
한 해의 첫 보름달이 뜨는 날입니다.
정월대보름은 우리 세시풍속에서 가장 중요한 날로 설날만큼 비중이 큽니다.
우리나라의 세시풍속에서는 보름달이 가지는 뜻이 아주 강하였다.
정월대보름이 우선 그렇고, 다음의 큰 명절이라고 할 수 있는 추석도 보름날이다.
정월대보름은 한 해 농사 풍년과 가족의 건강 그리고 나쁜 기운을 쫓아내고 좋은 기운을 불러들이기 위한
다양한 의식과 행사가 진행됩니다.
✔ 2024년 정월대보름: 음력 1월 15일/양력 2월 24일(토)
정월대보름 음식
1. 오곡밥 [ 五穀飯 ]
정월대보름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게 오곡밥입니다.
오곡밥은 정월 대보름 전날 저녁에 미리 지어서 아홉 가지나물과 함께 보름 명절의 음식으로 대표적입니다.
오곡밥에는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있고,
농사를 짓는 사람은 농사지은 곡식을 종류별로 모두 넣어서 오곡밥을 지어먹었습니다.
옛날에는 지역마다 집안형편에 따라 넣어먹는 곡식종류가 달랐습니다.
대표적으로 오곡밥에는 찹쌀, 차수수, 차좁쌀, 붉은팥, 검정콩 이렇게 5가지를 넣은 오곡밥이 대표적입니다.
특히 대보름날에는 다른 성을 가진 세 집 이상의 밥을 먹어야
그 해의 운이 좋다고 하여 여러 집의 오곡밥을 서로 나누어 먹고,
또 그 날 하룻 동안 아홉 번 먹어야 좋다고 하여 틈틈이 여러 번 나누어서 조금씩 먹기도 하였습니다.
2. 묵은나물
정월대보름에는 오곡밥과 함께 9가지 나물을 같이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나물 먹는 이유는 오곡밥과 똑같이 그 해의 곡식이 잘 되기를 바라는 뜻이 담겨있습니다.
나물 역시 지역별로 먹는 나물이 다르며
대표적으로는 고사리, 고비, 취나물, 호박, 가지, 시래기, 콩나물, 곤드레버섯, 다래순 등이 있습니다.
3. 부럼 깨기
정월대보름 아침에는 견과류, 특히 호두나 땅콩 같은 '부럼'을 깨뜨리는 행위를 통해
건강과 복을 기원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이는 악귀를 쫓고 복을 불러온다고 여겨져 있으며
가족구성원이 모두 모여 서로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시간으로 여겨집니다.
4. 약밥
정월대보름에는 약밥도 많이 먹는데 약밥을 먹는 이유는
신라시대 소지왕이 정월대보름날 경주 남산 기슭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행차를 하는 중에 갑자기
까마귀가 날아와서 봉투 한 장을 떨어뜨리고 날아갔다고 합니다.
신하들이 까마귀가 떨어뜨린 봉투를 주워서 봤더니 겉면에 이걸 뜯어보면
2명이 죽고, 안 보면 1명이 죽는다고 쓰여 있었다는군요.
그러다가 한 신하가 1명은 왕을 일컫는 것이라고 해서 열어보았더니
당장 궁중으로 돌아가서 내전 별방에 있는 금갑을 쏘시오라고쓰여 있었다고 합니다.
그래서 소자왕은 바로 궁으로 돌아가서 금갑에 대고 활을 쏘았더니 왕비와 한 신하가 나왔답니다.
왕은 심문을 해보니 둘이서 역모를 꽤 하고 있는 중이었더랍니다.
왕은 둘을 처형하고 목숨을 살려준 까마귀에게 고맙다는 뜻으로 매년 음력 1월 15일을 까마귀 제삿날(오기일)로 정하고귀한 재료를 넣은 검은 밥 즉 약밥(약식)을 지어서 제물로 바쳤다 합니다.
정월대보름 세시풍속
1. 강강술래
강강술래는 서남 해안 일대에서 정월대보름이나 추석 때 여성들 중심으로 각종 원무(圓舞)를 그리면서
춤, 노래, 놀이가 병행되는 민속놀이(세시풍속)입니다.
하늘을 가득 채운 달빛이 사방을 환하게 밝히며 희망과 염원을 바라는 노래와 춤으로
한해의 건강을 바라는 의미를 담아 췄다고 합니다.
2. 쥐불놀이
농촌에서 정월대보름 첫 쥐날에 쥐를 좇는 뜻으로 논밭 둑에 불을 놓는 놀이로 불의 기세가 크면 좋다 하여 이 날은 각 마을이 서로 다투어가며 불 기세를 크게 하는 세시풍습이 있습니다.
쥐불놀이는 횃불을 들고 들판에 나가
논밭두렁의 잡초와 잔디를 태워 해충의 피해를 줄이고자 하는 의도를 담고도 있습니다.
3. 줄다리기
정월대보름날에 많은 사람이 두 편으로 나뉘어 줄을 잡아당겨 승부를 겨루는
성인남녀놀이(세시풍속)로, 줄다리기의 성패로 그해 농사의 풍흉을 점칩니다
줄다리기는 편싸움의 대표 종목으로 가장 많은 사람들이 참가하는 놀이(세시풍속) 중 하나였습니다.
둘로 나뉘어 짚으로 만든 동아줄을 서로 당겨 자기편 쪽으로 끌어오면 이기는 놀이로,
이긴 편은 그 해 풍년이 들고 무병, 무재하다고 믿었습니다.
인접한 마을 간에 행사를 벌여 마을 주민이 참가해 협동과 단결을 이루는 장이었습니다.
놀이의 시작을 알리는 징소리가 울리면 양편은 서로 힘을 다해 줄을 잡아당깁니다.
줄다리기가 시작되면 응원하는 이들의 함성과 농악대의 참여로 흥을 더했습니다.
전체의 힘이 하나로 모아져야 하기 때문에 호흡을 맞추도록 지휘하며 노래를 부르기도 했습니다.
짧으면 하루, 길면 수일에 걸쳐 승부가 이루어지기도 해서 마지막 승부를 겨루는 시간을 빼놓고는 힘을 조절해 상대편과 조화를 이루고 줄을 당기던 사람들이 나와서 쉬기도 했습니다.
4. 보름세기
정월대보름 전날 밤에는 집의 불을 밝혀 놓고 밤을 꼬박 새웠습니다.
이를 ‘보름 새기’라고 합니다. 이날 일찍 잠자리에 들면 눈썹이 하얗게 샌다고 합니다.
5. 더위 팔기
대보름날 아침에는 더위를 팔았습니다.
처음 만난 사람의 이름을 불러 더위를 팔면 여름에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믿었습니다.